해상운송을 이용하여 물건을 해외로 수출할 때는 컨테이너를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. (선사는 컨테이너 화물만 받기 때문이죠). 수출품에 따라 사용되는 컨테이너가 다르기 때문에 컨테이너 제원에 대해 잘 알아보셔야 되겠죠? 그래서 오늘은 수출용 컨테이너 종류와 크기에 대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.
일반 컨테이너
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컨테이너는 Dry Container입니다. 드라이 컨테이너는 공산품을 수출입할 때 많이 사용되며, 종류는 20FT 컨테이너 / 40FT 컨테이너 / 40FT HC (High Cubic) 컨테이너 / 45FT 컨테이너로 총 4개가 있습니다.
- Dry Container (DV)는는 Standard Container (ST) 혹은 General Purpose Container (GP)라고도 라고도 불립니다.
□ Dry Container (드라이 컨테이너)
<Tip>
- 20피트 컨테이너는 부피보다 무게가 많이 나가는 화물 수출 시 사용
- 40피트 컨테이너는 중량에 비해 부피가 큰 화물 수출 시 사용 (예를 들면 '솜')
- 40FT HC 컨테이너는 높이가 높기 때문에 일부 국가에서 In-land 통행이 제한될 수 있음
- 수출용 컨테이너는 ISO (국제표준화 기구) 규정에 의해 전 세계가 공통된 규격을 사용하고 있지만, 각 선사별로 사이즈가 약간 다를 수 있음
- 국가마다 도로관리법에 의해 적재중량이 제한될 수 있으니 확인 필요
- 실무자 입장에서 혼적 화물 수출 시 40ft 컨테이너 효율이 높고 20ft는 낮음
- 상기 명시된 내부용적CBM만큼 화물을 꽉꽉 채우지 못함, 20FT -> 45FT 순으로 대략 25/53/61/68 CBM으로 실제 내부 용적의 75~80%가 적재 가능 부피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특수 컨테이너
공산품 수출 시에는 Dry Container가 많이 사용되지만, 특수 화물 (식품, 의약품, 유류, 자동차 등) 해상 운송을 할 때 사용되는 특수 컨테이너들도 있습니다. 어떠한 특수 컨테이너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.
□ Reefer Container (냉동 컨테이너)
냉장 및 냉동 기능이 가능한 컨테이너로서,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하는 물품 (식품, 농수산물, 축산물, 의약품 등) 운송 시 사용됩니다. 참고로 냉동 컨테이너는 모든 선사가 횐색으로 통일시켜 사용되고 있습니다.
<Tip>
- 냉동 컨테이너는 종류별로 유지할 수 있는 온도가 각기 다르므로 포워더에게 부킹 시 온도 기능 확인 필수
- 간혹 냉동 컨테이너 선적 시 냉각기가 가동되지 않은 상태로 작업이 진행될 수 있음으로 포워더 혹은 선사에게 주의해 달라고 요청해야 함
□ Open Top Container (오픈탑 컨테이너)
오픈탑 컨테이너는 드라이 컨테이너를 변형한 컨테이너로서, 천장이 개방된 컨테이너입니다. 일반적으로 높이가 불규칙적인 화물을 운반하는데 많이 사용됩니다. 높이가 높은 화물 적재 시 크레인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상부로 넣습니다.
□ Flat Rack Container (플랫 랙 컨테이너)
드라이 컨테이너에서 천장과 양쪽 사이드 벽이 제거된 컨테이너입니다. 일반 컨테이너에 비해 바닥이 강하고 화물을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크레인이나 트럭 등 중량물을 운송 시 많이 사용됩니다. 또한, 건축물 자재와 같은 좌우 over dimension 화물 운반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.
□ Tank Container (탱크컨테이너) + Hanger Container (행거 컨테이너)
추가로 탱크 컨테이너와 행거 컨테이너와 같은 특이한 컨테이너도 있습니다. 탱크 컨테이너 유류, 화학제품, 주류 등 액체 종류의 화물을 운송 시 많이 사용됩니다. 위험물이나 독극물 등 수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이죠. 행거 컨테이너는 일반 드라이 컨테이너 내부에 행거를 설치한 컨테이너로, 실크, 밍크. 가죽 등 고급 의류를 운송할 때 사용됩니다.
이렇게 수출용 컨테이너 종류와 규격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. 많이 도움이 되셨을까요? 앞으로는 본인이 수출하고자 하는 물품의 종류와 성질에 따라 컨테이너 종류를 잘 선택하셔야 운송하시면 되겠습니다:) 참고로 컨테이너 종류마다 운임과 발생하는 부대비용이 다르므로 사전에 포워더랑 확인 후 진행하시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.
☆ 함께 보면 좋은 글
컨테이너 고정작업 Shoring, Lashing, Chocking (쇼링, 라싱, 쵸킹) +Blocking, Bracing
해상 운송에는 고정(고박) 작업이라는 것 있습니다. 통상 FCL로 진행하는 경우, 반드시 진행되어야 하는 작업 중 하나입니다. 해상 운송 중에는 예상치 못한 일들(악천후, 작업자의 부주의 등)이 �
foreignstudentss.tistory.com
FCL LCL 개념 쉽게 이해하자
해상 수출입 업무를 진행 시 FCL과 LCL이라는 용어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. FCL과 LCL은 과연 무엇이고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? 선사는 컨테이너 화물만 받아 운송해줍니다. 즉, 박스나 파렛트 단위의
foreignstudentss.tistory.com
쉽게 CBM 구하는 방법 :: 자동 CBM 계산기
무역 및 운송 관련 업무를 진행하다 보면 자주 접하게 되는 몇 가지 무역용어들이 있습니다. B/L, C/O, Volume Weight 등 여러 용어들이 있지만, 그중 CBM이라는 용어는 해상 운송 시 많이 사용됩니다. ��
foreignstudentss.tistory.com
'무역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쉬운 CBM 계산법 :: 자동 CBM 계산기 활용하자 (4) | 2020.05.27 |
---|---|
패킹리스트 작성법과 양식 (Packing List 샘플 파일 첨부) (0) | 2020.05.26 |
아주 쉬운 수입통관 :: 통관절차 흐름 / 수입통관 서류 / 신고시점 (0) | 2020.05.19 |
컨테이너 고정작업 Shoring, Lashing, Chocking (쇼링, 라싱, 쵸킹) +Blocking, Bracing (0) | 2020.04.24 |
FCL LCL 개념 쉽게 이해하자 (0) | 2020.04.08 |